본문 바로가기
경영이야기

지각오류의 정의와 오류를 간단하게 알아봐요.

by 원트모어 2022. 6. 17.

 

후광효과라고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어떤 사람의 외모에 호감을 가지면 그 사람의 지적 수준이나 성격도 좋게 평가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것은 지각 오류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지각 과정은 다양한 영향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객관적인 지각을 못 하고 

다양한 모양의 지각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지각오류는 



  
예시로 들었던 후광 효과(halo effect)입니다. 

후광 효과란 어떤 대상이 가지는 개인적인 특성으로 인해 호감 있는 모습이 만들어져  
대상에 대한 평가에 좋은 인상을 주는 지각오류를 칭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뿔 효과(horn effect)는 어떤 대상이 가지는 비호감 적인 특성이 대상의 평가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각적 방어(perceptual defense)

 개인에게 위협을 주는 자극이나 상황적인 사건이 있을 때 
이에 인식하기를 거부함으로써 방어를 구축하는 지각오류를 말합니다. 
자신의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을 직면할 때 불일치를 제거할 목적으로 정보를 회피하거나 

왜곡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상동적 태도(stereotyping)는 

대상이 속한 집단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대상을 판단하는 오류를 칭합니다. 

흔히 집단으로 인해 편견을 가지는 고정관념을 뜻합니다. 
위의 후광효과는 개인적인 특성을 근거로 한 오류였지만, 상동적 태도는 집단의 특성에 근거하여 판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영 효과(projection effect)란 

평가 대상에 평가자의 감정을 이입시켜 발생하는 지각오류를 칭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태도나 감정도 나와 같을 것이라는 단정하는 경향으로 

주관적인 상황을 객관적인 상황으로 인식하는 지각오류입니다. 

 

자존적 편견(self-serving bias)은 

평가자가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실패 요인을 외부에서 찾고

 자신의 성공에 대하여서는 내부적 요인에서 원인을 찾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자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란 

개인의 기대나 믿음이 그의 행위나 성과를 경정하는 지각오류를 말합니다.

 흔히 피그말리온 효과 라고도 합니다. 

 

순위효과(order effect)란 

대상을 평가할 때 받은 지각의 순서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 지각오류를 말합니다. 

이중 최초효과는 지각 대상의 첫인상이 평가에 크게 작용하는 현상을 말하고 
지각 순서 중 가증 늦게 투입된 최근 인상이 평가에 크게 작용하는 것을 최근효과라 합니다. 

 

대비오류(contrast error)

각 대상을 평가하면서 다른 비교 대상과 비교해서 평가함으로 범하게 되는 지각오류입니다. 이러한 대비오류는 지각 대상과 비교하는 대상이 자기 자신이 될 수도 있습니다. 평가자는 자기 자신과 유사한 대상을 좋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효과를 유사 효과(similar to me effect)라고 합니다. 



다음 마지막으로 관대화 경향(lenient tendency)은 

평가대상을 평가할 때 가급적 후하게 평가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대상을 가혹하게 평가하는 경향을 가혹화 현상(harsh effect)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지각오류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