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퀸 효과란
레드퀸은 <이상한나라의 엘리스> 저자로 알려진 루이스 캐럴의 후속 작품 속 소설의 등장인물입니다.
작품 속 여왕의 대사인
"제자리에 머물기 위해서는 온 힘을 다해 뛰어야 한다. 만약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해선
지금보다 최소한 두배는 빨라야 한다"라는 가설을 생물학자들이 공진화 이론으로 체계화시켰고,
그 결과 '레드퀸 효과'가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아프리카의 영양과 치타에 대해 생각해 보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양양은 아프리카 추월에서 사자를 따돌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타에겐 따라 잡힙니다.
치타의 속력은 110km이므로 웬만한 거리에서는 꼼짝없이 잡힙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치타가 빠른 것은 아닙니다. 사냥을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에 지금의 속력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영양도 마찬가지로 맹수로부터 살기 위해 죽어라 도망을 쳐왔기에 적정거리에 맹수가 와도 겁을 먹지 않게 됐습니다.
서로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지금의 치타와 영양을 만든 셈입니다.
진화론적으로 이를 공진화라고 합니다.
곧 함께 서로를 극해 진화했다는 말입니다.
위의 예를 인간세계에 확대해 보면 더 흥미롭습니다.
저명한 앨빈 토플러의 책 <미래의 부>를 보면 이런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이 세상의 여러 주체들을 변화 속도에 비유해 분류해 보면
'기업'이 가장 빨라서 100마일로 선두에 달리고
'가족'들도 그리 늦지 않은 60마일로 달립니다.
하지만 '노동조합'과 '정부'는 각각 30마일과 25마일로 느린
속도를 냅니다.
더 느린 조직은 '학교'로서 10마일, '국제조직'은 5마일 등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반면에 시민 단체인 NGO는 무려 90마일의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습니다.

NGO가 빠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민 단체는 시민을 대신하여 기업, 정부 같은 거대 조직들을 감시하고 이를 대중에게 알려
큰 조직의 파행과 문제점을 감시하는 일을 합니다.
또한 건설적인 대안을 만들어 사회가 좋은 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시민 단체 안에는 전문가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더욱 빠르게 문제의식과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의 실상과 허상을 고발하기도 합니다.
관찰의 대상인 기업이 빠르게 움직이는 만큼 시민 단체들도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쫓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를 '레드퀸 효과' 혹은 '공진화'라 합니다.
이런 레드퀸 효과를 ‘진화적 군비확장 경쟁(Evolutionary Arms Race)’이라고도 부릅니다.
인간은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해서 수십 년 동안 고단위의 항생제를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 박테리아들이 박멸되기는커녕 오히려 내성이 강한 슈퍼박테리아로 키우는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박테리아들은 생존을 위한 방어 본능으로 강력한 항생제들을 물리칠 수 있도록
자신들의 군비를 확장해 진화·발전한 것입니다.
우리가 인생을 살다 보면 경쟁자가 있게 마련인데 처음에는 경쟁자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지만,
막상 경쟁자 때문에 우리 역시 발전을 거듭할 수 있습니다.
경쟁자 역시 우리 때문에 발전의 계기를 마련합니다.
경쟁은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경쟁은 필요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100[ Renewable Electricity 100% ] (0) | 2022.10.02 |
---|---|
세계가 잭슨홀(Jackson Hole Meeting)에 주목하는 이유 (0) | 2022.08.31 |
헤지 펀드 (hedge fund) 간단 명료하게 알아보기 (0) | 2022.06.10 |
공매도(short stock selling) 제일 쉽게 이해하기 (0) | 2022.06.07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란? (0) | 2022.06.04 |